불쑥불쑥

24절기표 순서와 뜻 한문까지 정리 본문

Information

24절기표 순서와 뜻 한문까지 정리

2019. 10. 27. 22:49

24절기표 순서와 뜻 한문까지 정리


일상상활에서 계절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달력으로 확인하면서 체크하는데 이때 24절기는 우리나라의 4계절을 가장 잘 표현한 지혜중 하나 입니다.


그런데 24절기가 음력이 아닌 양력 기준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분은 많지 않을 듯 합니다. 양력기준이기 때문 해마다 비슷한 날짜가 됩니다.






달력을 자세히 보면 동일한 24절기는 양력으로 해마다 거의 같은 날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각 절미다 날짜와 한문 표기법과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봄 


입춘(立春) (양력 2월 4일 또는 2월 5일 ) 

봄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는 시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입춘의 뜻 - 입춘은 봄이 시작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절기로 한 해를 통틀어서 첫번째로 시작하는 절기라고 할수 있는데요. 새로운 해를 시작하는 만큼 농경의례와 관련이 되어있는 많은 행사들이 열리기도 하는 절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지만 날짜상으로는 2월 초이기때문에 봄이 왔다고 하기에는 날씨가 많이 춥다고 할수 있는데요. 보통 우리나라의 날씨를 보자면 3월 초까지는 꽃샘추위라고 해서 날이 풀렸다가 다시 추워지는 시기로서 3월초가 지나야지만 날씨로 보았을때는 봄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2월에도 비교적 따뜻한 날씨가 있는만큼 봄을 알리고 시작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우수(雨水) (양력 2월 18일 또는 2월 19일 )

얼음이 녹아내리고 초목에 싹이 트는 시기를 이야기한다고 합니다.


정확한 우수의 뜻 - 우수는 눈이아닌 비가 내리고 얼음이 녹아내려 물이 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날씨가 많이 풀렸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인데요. 어느정도 봄이 가까이에 왔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는 시기가 바로 우수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눈에서 비로 바뀌어 내리는 시기로 우수뒤에 얼음 같이라는 속담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 뜻은 얼음이 스르륵 녹아 없어지게되고 많이 추웠던 날씨가 많이 누그러지며 따뜻함을 느끼며 초목에도 새싹이 나온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경칩(驚蟄) (양력 3월 5일 또는 3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을 맞치고 깨어난다고 하는 시라고 합니다.


정확한 경칩의 뜻 - 경칩에는 벌레들이 겨울잠을 자고 있다가 깨어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칩이라는 한자어 자체가 겨울잠을 자고있는 벌레라고 해성을 한다고 합니다. 이 시기가 되면 처음으로 천둥이 치기도 하고 겨울잠을 자고있던 벌레들이나 또는 개구리 등이 땅속에서 나온다고 생각을 했다고 해요. 특히 경칩에는 많은 사람들이 겨울잠을 자고있던 개구리가 잠에서 깨어나는 시기라고 많이 알고 있는데요. 우수 경칩에는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속담이 있다고 하는데요. 속담에 있는 발 그대로 이제 완연한 봄이 왔다는것을 체감할수 있는 시기가 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춘분(春分) (양력 3월 20일 또는 3월 21일) 

밤이 길었던 시기에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정확한 춘분의 뜻 - 춘분을 풀이하자면 낮과 밤의 길이가 정확하게 같은 시기라고 할수 있는데요. 이전까지는 밤의 길이가 길다가 요 시기가 되면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이시기가 지나면 지날수록 낮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시작점이 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이 시기에는 황도호가 적도가 교차를 하는 때라고 하는데요. 이날부터 낮의 길이가 조금씩 길어지고 춘분의 날씨로 하여금 올 한해 흉년이나 풍년을 예견하기도 하고 가뭄이나 홍수도 예견을 하는 시기에기도 한다고 해요.


청명(淸明) (양력 4월 4일 또는 4월 5일) 

이절기에는 날씨가 맑고 봄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정확한 청명의 뜻 - 청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자면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절기라고 하는데요. 우리의 명절인 한식과 날짜가 겹치는 경우도 있고 하루정도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때문에 한식에 죽는 경우나 또는 청명에 죽으나 라는 속담이 있기도 하다고 하는데요. 언제 죽어도 같은 날이라는 것이라고 하는 말인거 같아요. 청명 무렵이 되면 논이나 밭에 있는 흙을 고르는 일을 일컷는 가래질을 시작하게되는 시기라고 하는데요. 이일은 논 농사의 준비를 하는 아주 중요한 작업이라고 합니다. 청명에 그날 날씨가 좋으면 그 해의 농사가 잘 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고 날씨가 좋지 못한다면 그해의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곡우(穀雨) ( 양력 4월 20일 또는 4월21일 ) 

봄비가 내리면서 곡식이 자라날수 있도록 윤택해진다는 시기 입니다.


정확한 곡우의 뜻 -  곡우에는 하늘에서 비가 내려와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절기라고 할수 있고 이 무렵이되면 농촌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볍씨를 답그고 볍씨를 담아 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게 된다고 합니다. 혹시라도 부정한 일을 당한다거나 또는 이것을 본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집 앞에서 불을 놓고 그 위를 지나가게 한 후에만 집안으로 들이는 일들이 많이 있었고 집에 들어온 후에도 볍씨를 절대로 보지 못하도록 했었다고 합니다. 옛날에 이렇게 했던 이유는 바로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본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된다면 그해의 농사를 망치게 된다고 생각을 하여 그렇게 했었다고 하는데요. 또한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듯이 곡우에 비가오면 그만큼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이고 비가 오지않으면 불길한 일이라서 농사를 망친다고 생각을 했었다고 하네요.



여름 


입하(立夏) (양력 5월 5일 또는 5월 6일)

이 시기가 되면 봄이 지나가고 여름이 온다는 것을 알리는 시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입하의 뜻 - 입하는 봄이지나가고 여름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는 시기라고 하겠습니다. 입하가 되면 봄의 기운이 사라지고 주변에 있는 산과 들에는 모두 신록이 가득하게 되고 이때부터 개구리가 우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볍씨에도 싹이 트기시작하여 모가 자란다고 할수 있고 밭에서는 보리이삭을 패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이야기를 할수도 있겠습니다.


소만(小滿) (양력 5월 21일 또는 5월 22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정확한 소만의 뜻 - 소만을 이야기 하자면 만물이 성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일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할수 있는데요. 모내기를 준비하기 위해서 엄청나게 바빠지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네요. 주변의 산과 들에도 꽃들이 만발하고 곳곳에서 여름이 다가왔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는 절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망종(芒種) (양력 6월 5일 또는 6월 6일) 

바로 이 시기에 곡식의 띠를 뿌리게 되는 시기라고 하겠습니다.


정확한 망종의 뜻 - 망종은 까끄라기 곡식의 씨를 뿌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절기로 망종에서 망이 뜻하는 것은 까끄라기 망이라는 말인데요. 바로 까끄라끼 곡식이라고 하여 수염이 달려있는 곡식을 뜻한다고 하네요. 결국 이야기를 하는 곡식은 벼나 보리 등을 이야기 하는 것이고 바로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지금 뿌려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망종에는 모내리를 하기에 아주 좋은 시기라고 할수 있고 보리는 이 시기에 베기가 아주 좋다고 해요. 그래서 우리의 속담에 보리는 방종전에 베라 과 하는 속담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때 보리를 메어야지만 논에 별를 심는다거나 또는 밭갈이도 이시기에 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속담이 있는 것이라고 하네요.





하지(夏至) (양력 6월 21일 또는 6월 22일) 

이날이 바로 낮의 길이가 가장 길하고 하는 날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하지의 뜻 - 하지는 바로 1년 중에서 가장 낮의 길이가 긴 날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이야기를 해드리자면 우리와 반대쪽에 있는 남반구 에서는 우리와 정 반대로 1년중에서 낮의 길이가 가장 잛은 날이라고 이야기를 한다고 해요. 이날을 기점으로 해서 낮의 길이가 조금씩 줄어들어 짧아진다고 합니다. 태양이 가장 높은 곳에서 뜨게되고 낮의 길이가 1년중에서 가장 길다고 알려진 날이기 때문에 지표면에 가장 많은 열이 쌓이게 되고 이로인해서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날씨가 더운 날씨가 된다고 하겠습니다. 또한 하지가 될때까지 하늘에서 비가오지 않으면 비를 내려달라고 지내는 기우제를 드리는 풍습이 있었고 또한 하지는 우리나라에 장마가 시작이 되는 시기라고도 이야기를 할수 있겠습니다.


소서(小暑) (양력 7월 7일 또는 7월 8일)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된다는 절기라고 하겠습니다.


정확하 소서의 뜻 - 소서는 작은 더위를 뜻하는 말로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여름의 무더운 날씨가 시작된다는 것을 이야기 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이 시기에 우리나라는 장마전선이 생겨 비가 많이 내리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마른 장마가 아니라면 그래도 더운 시기에 비때문에 더위를 좀 덜 느낄수 있지만 많은 비가 내릴수 있기때문에 또 비피해가 많이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심는다 라는 우리의 속담이 있는데요. 소서가 지나가면 모내기가 늦은 편이라서 모두 힘을 합쳐 모내기를 빨리 끝내야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속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절기가 오기전에 꼭 모내기가 끝나야 한다고 하네요.


대서(大暑) (양력 7월 22일 또는 7월 23일) 

이 시기가 더위가 절정에 다다르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정확한 대서의 뜻 -  대서는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면 큰 더움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말그대로 큰 더움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1년중에서 가장 더운 시기라고 하겠습니다. 그래서 이시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떠나는 시기이기도 한데요. 하지때 부터 쌓이게 된 지표면의 열기로 인해서 이시기가 더위의 절정을 이루게 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 삼복의 하나라고 할수 있는 중복과 비슷한 시기가 된다고 보면 되기때문에 엄청 덥고 이시기가 되면 장마도 끝이난 시기라고 하겠습니다.




​가을 

입추(立秋) (양력 8월 7일 또는 8월 8일) 

이 시기가 되면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입추의 뜻 - 입추를 보자면 바로 가을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절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이 시기에는 여전히 날씨가 덥다고 볼수 있지만 밤에는 비교적 선선한 바름이 불어오기 시작하면서 시원하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는 시기 입니다. 이 시기부터 바로 김장을 할때 사용하게될 배추와 무를 심는 시기로 본격적인 겨울이 다가오기 전에 김장을 대비하기 위한 때 이기도 하다고 하네요. 입추라는 절기에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라고 할수 있어 이날의 날씨에 따라서 한해의 농사가 얼마나 잘 되어질지를 가늠해보기도 한다고 합니다.


처서(處暑) (양력 8월 23일 또는 8월 24일) 

이 시기가 되면 더위가 조금씩 물러가고 일교차가 많이 벌어지는 시기입니다.


정확한 처서의 뜻 - 처서를 이야기 하자면 여름이 지나가서 더위가 사라자고 가을이 다가온다는 것 의미한다고 하는데요. 처서가 지나가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 진다고 하는 속담이 있을만큼 날이 선선해 지기때문에 모기나 파리같은 여러가지 곡종 곤충들이 주변에서 점점 줄어드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농가에서는 이 시기가 그나마 일이 좀 많이 않고 한가한 때라고 할수 있으며 이 절기에 비가오지 않고 날이 좋으면 농사가 잘될수 있다고 믿기도 한 절기라고 합니다.


백로(白露) (양력 9월 7일 또는 9월 8일) 

이 시기부터는 이슬이 내리는 곳이 생기는 시기 입니다.


정확한 백로의 뜻 - 백로는 바로 흰 이슬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본격적으로 가을이 시작된다고 볼수 있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백로가 되면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는 시기여서 풀입에 이슬이 맺힌다고 하는 시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 시기가 되면 통상적으로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가끔 이 시기에 지나가는 강한 태풍때문에 농사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사실 추석 전으로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근접해 올라와 북쪽으로 올라가서 많은 피해가 나기도 했었는데요. 이처럼 농가에서는 백로에 바람이 불게되면 벼농하를 할때에 좋지 않다고 생각을 했다고 해요.





추분(秋分) ( 양력 9월 23일 또는 9월 24일 ) 

이 시기부터는 다시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절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추분의 뜻 -  추분은 춘분하고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라고 이야기를 할수 있는데요. 이날이 지나고 나서부터는 다시 밤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시기라고 하겠습니다. 또 추분에 불어오는 바람을 보고선 내년의 한해 농사를 예측하기도 했다고 하네요.


한로(寒露) (양력 10월 8일 또는 10월 9일 ) 

이 시기에는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정확한 한로의 뜻 -  한로는 한자 그대로 차가운 이슬을 뜻하는 말로 지금부터는 점점 날씨가 추워진다는 절기로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적전을 뜻하기도 한다고 해요. 기온이 떨어지기 전에 빨리 추수를 마무리해야해서 모든 농가들이 가장 바쁜 시기라고 할수 있고 타작을 한창 하게되는 시기라고 합니다. 이 시기가 되면 여름에 오는 철새와 겨울에 오는 철새또한 서로 교체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상강(霜降) ( 양력 10월 23일 또는 10월 24일 ) 

이 절기에는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정확한 상강의 뜻 - 상강은 한자 그대로 보아도 설이가 내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낮에는 보통 화창한 날씨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밤에는 낮과 다르게 기온이  많이 낮아지기때문에 매우 쌀쌀해지는 경우가 많고 어느정도 추수가 마무리 되어 이제부터는 겨울 준비를 하게되는 시기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지역에 따라서 이 시기에는 얼음이 어는 곳이 생기기도 한다고 하고 이 시기가 단풍을 구경하기 아주 알맞은 때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겨울


입동(立冬) ( 양력 11월 7일 또는 11월 8일 ) 

이제부터는 겨울이 시작이 되는 것을 알리는 절기 입니다.


정확한 입동의 뜻 - 입동이 되면 겨울이 시작이 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절기로 이 시기에는 겨울이 다가고는 것에 대비를 하는 시기라고 합니다. 또 이시기 부렵부터는 땅이 얼어붙는 시기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했는데요. 예전에는 입동이 시작하는 무렵에 김장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으나 요즘에는 점점 시간이 지나갈수록 김장을 하는 시기가 늦어지는 추세라고 하네요. 또한 입동의 날씨가 춥게되면 그 해의 겨울에는 추워진다고 믿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고 하네요.


소설(小雪) ( 양력 11월 22일 또는 11월 23일 ) 

첫 눈이 내리는 시기로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 절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소설의 뜻 - 소설은 말 그대로 작은 눈을 뜻하는 한자어로 올해의 첫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소설에는 날씨가 추워야지만 보리농사가 잘 된다고 믿었것 때문에 소설의 추위는 빚을 내어서라도 한다라는 옛 속담이 있다고 합니다. 소설이 시작되면서 부터는 바람이 차가워지는 날씨로 변하고 추워지기 때문에 예전에는 소설이 되기전에 김장을 마무리 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고 합니다.


대설(大雪) ( 양력 12월 7일 또는 12월 8일 ) 

이  절기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절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대설의 뜻 - 대설은 한자의 뜻 그대로 큰 눈을 뜻하는 한자어로 이 시기에는 많은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대설 무렵이 되면 농가에는 일이 없는 농한기라고 해서 이전에는 추수를 한 곡식을 가지고 겨울을 나기 시작하는 시기에요. 대설에 눈이 오게되면 이듬해에 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생각을 했고 푸근하게 겨울을 날수 있다고 믿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시기적으로 봤을때는 눈이 많이 오는 시기가 아니기때문에 눈이 오는 경우는 많이 있지않다고 해요.


동지(冬至) ( 양력 12월 21일 또는 12월 22일 ) 

이 절기가 되면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고 알려진 절기 입니다.


정확한 동지의 뜻 - 동지라는 절기가 되면 1년 중에서도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고 할수있는 날이라고 할수 있는데요. 참고로 아까도 이야기를 해드렸던 남반구 쪽에는 우리와 반대로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 되는 것이죠. 이날 이후로 지나갈수록 잠의 길이는 점점 짧아진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한 동지때 날씨가 따뜻하게 되면 다음해에는 질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죽는다거나 또는 눈이 많이 온다거나 날씨가 춥게되면 풍년이 들게된다고 믿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소한(小寒) ( 양력 1월 5일 또는 1월 6일 ) 

겨울 중에서도 가중 추운 시기를 나타내를 절기 입니다.


정확한 소한의 뜻 -  소한이라는 것이 바로 작은 추위를 뜻하는 말이지만 실제로는 우리 나라로 보았을때는 가장 추운 시기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속담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만큼 우리나라의 24절기에서 보는 기준으로도 가장 춥다고 인식이 되고 있다고 하네요. 예전의 경우에는 소한때부터 입춘이 올때까지는 강한 추위를 대비하여 충분히 땔감을 준비해두는 경우가 많아 혹한에 대비하곤 했었다고 해요.


대한(大寒) ( 양력 1월 20일 또는 1월 21일 ) 

이 절기에는 겨울의 큰 추위가 있는 절기라고 합니다.


정확한 대한의 뜻 - 대한을 한자 그대로 풀이하자면 바로 큰 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대한도 물론 춥다고 할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소한 보다는 덜 춥다고 하네요. 예전에는 중국의 화북 지방을 기준으로 했기때문에  대한이 가장 추운 날씨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지금의 우리나라 에서는 정확하게 맞지 않는다고 합니다. 


Comments